IT

세계 1위 음악 앱 ‘스포티파이’ 올해만 세 번째 인원 감축, 유튜브 뮤직 급성장 여파?

세계 1위 음악 앱 ‘스포티파이’ 올해만 세 번째 인원 감축, 유튜브 뮤직 급성장 여파?

스포티파이가 지난 1월 600명 해고와 6월 팟캐스트 부문 200명 감원에 이어 또 한 번의 대규모 구조조정에 나서며 업계에서는 경쟁 업체들의 선전이 스포티파이의 위기감을 고조시켰다고 풀이했다. 특히 유튜브 뮤직의 급성장은 스포티파이를 비롯한 대다수 음악 스트리밍 플랫폼에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가고 있다.

반유대주의 논란 ‘머스크 리스크’에 휘청이는 ‘X’, 정작 머스크는 “Go F— yourself”?

반유대주의 논란 ‘머스크 리스크’에 휘청이는 ‘X’, 정작 머스크는 “Go F— yourself”?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신의 반유대주의 옹호 논란에 대해 불쾌감을 표했다. 지속적인 해명에도 논란이 끊이지 않는 데 불편한 기색을 드러낸 것이다. 사실상 머스크 리스크로 인해 X의 광고 수익성 개선이 요원하게 됐지만, 머스크는 광고주들에게 “꺼져 버려라”라고 말하는 등 당당한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IT 기업 카카오의 때 아닌 ‘골프’ 논란, 관성 좇는 韓의 ‘불편한 진실’

IT 기업 카카오의 때 아닌 ‘골프’ 논란, 관성 좇는 韓의 ‘불편한 진실’

홍은택 카카오 대표가 최근 벌어진 카카오 경영진 비위 등 각종 의혹에 대해 “조사단을 꾸려 감사에 착수했다”고 전 직원들에게 알렸다. 특히 논란의 중심으로 떠오른 골프장 법인 회원권에 대해선 매각 절차에 돌입했다. 그러나 논란을 바라보는 대중들의 시선은 여전히 곱지 않다. 카카오 골프 논란이 보여주는 한국식 접대의 관성이 대중들의 반감을 키운다.

권고사직 돌입한 직방파트너스, ‘부동산 경기 침체’ 탓만 할 수 있을까

권고사직 돌입한 직방파트너스, ‘부동산 경기 침체’ 탓만 할 수 있을까

부동산 플랫폼 직방의 자회사 직방파트너스가 권고사직을 통한 몸집 줄이기에 돌입했다. 한때 유니콘 기업으로 이름을 올린 직방까지 권고사직 바람이 불며 IT 업계에는 고용 불안에 대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이 내실 없이 무작정 회사의 규모만 키우는 데 대한 경종을 울리는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아마존, 기업용 AI 챗봇 Q 공개, ‘클라우드 3대장’의 챗봇 경쟁 본격화

아마존, 기업용 AI 챗봇 Q 공개, ‘클라우드 3대장’의 챗봇 경쟁 본격화

세계 최대 이커머스 기업 아마존이 기업용 인공지능(AI) 챗봇을 공개했다. 세계 1위 클라우드인 AWS(아마존웹서비스)에 새로 출시된 자체 AI 칩까지 받쳐주면서 경쟁사보다 가격도 크게 낮췄다. 그간 생성형 AI 시대에 뒤처져있던 아마존이 본격적으로 구글·마이크로소프트(MS) 등과의 경쟁에 출사표를 던진 모양새다.

네이버 통해 해킹됐다는 日 라인야후, 韓 클라우드 보안 시스템에 적신호 켜졌나

네이버 통해 해킹됐다는 日 라인야후, 韓 클라우드 보안 시스템에 적신호 켜졌나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 그룹의 경영통합으로 결정된 일본 업체 라인야후가 사이버 공격을 받아 개인 정보 44만 건이 유출됐다고 밝혔다. 라인야후 측에 따르면 이번 사이버 공격이 관계사인 한국 네이버클라우드플랫폼(NCP)에서 비롯된 것으로 전해져 NCP도 책임을 피하기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라인야후는 구체적인 개인정보 유출 정황을 확인하고 조치 중이다.

수수료 인하와 적자 사이의 ‘딜레마’, 카카오모빌리티 ‘IPO’ 목표 사실상 물거품?

수수료 인하와 적자 사이의 ‘딜레마’, 카카오모빌리티 ‘IPO’ 목표 사실상 물거품?

카카오모빌리티가 가맹택시 수수요 인하, 플랫폼 운영 방식 개편 등을 연내 실시한다. 정부와 시장의 요구를 반영한 ‘눈물의 결정’이라는 입장이다. 이번 결정으로 인해 카카오모빌리티의 수익 하락이 전망되면서 그간 IPO를 노리고 진행했던 몸집 부풀리기는 사실상 백지로 돌아갔다. 특히 분식회계 의혹 해명 과정에서 매출 지표 카드를 스스로 놓아버리는 등 자충수를 두면서 IPO의 마지막 가능성도 사실상 날아갔다는 반응이 나온다.

“샘 알트먼 돌아왔다” 오픈AI 이사회, 직원 반발에 알트먼 해임 닷새 만에 CEO 복귀 결정

“샘 알트먼 돌아왔다” 오픈AI 이사회, 직원 반발에 알트먼 해임 닷새 만에 CEO 복귀 결정

샘 알트먼 오픈AI 공동창업자가 최고경영자(CEO) 자리를 되찾았다. 알트먼의 복귀를 촉구하는 오픈AI 투자자와 직원들의 목소리에 결국 이사회가 뜻을 꺾은 것이다. 지난 17일(현지시간) 오픈AI 이사회의 급작스러운 퇴출 발표 후 닷새 만이다. 이사회 수익화 시도가 문제의 발단으로, 국내에서도 이사회가 창업자를 쫓아내다 역풍을 맞을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이미 일본 내 2개 공장 신규 건설 중인 TSMC, “첨단 3nm 칩 공장 추가 건립 검토”

이미 일본 내 2개 공장 신규 건설 중인 TSMC, “첨단 3nm 칩 공장 추가 건립 검토”

세계 1위 파운드리(반도체 수탁생산) 기업인 대만 TSMC가 일본에 세 번째 공장 설립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곳에선 인공지능과 자율주행을 포함한 차세대 기술의 핵심 기반이 될 AI 첨단 3나노미터 반도체가 생산될 예정이다. 이미 같은 지역에 2개 공장 건설을 진행 중인 TSMC가 추가 건립 검토에 나선 데는 국적에 관계없이 반도체 기업들에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는 일본 정부 때문이다. 지난 30년간 반도체 산업의 쇠락을 겪은 일본 정부는 최근 미·중 패권 전쟁 등에 따른 국제 정세 변화를 틈타 반도체 산업의 부활을 꿈꾸고 있다.

‘머스크 리스크’ 또 터졌다, ‘반유대주의 옹호’에 애플·디즈니도 X에 광고 중단 선언

‘머스크 리스크’ 또 터졌다, ‘반유대주의 옹호’에 애플·디즈니도 X에 광고 중단 선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반유대주의 발언으로 후폭풍이 거세지면서 그가 소유한 소셜미디어 X(옛 트위터)에 대한 기업들의 광고 중단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미 백악관까지 “반유대주의와 인종차별적 증오를 조장하는 혐오스러운(abhorrent) 행위”라며 비판에 가세한 가운데, 오너의 물의로 기업 및 투자자가 피해를 보는 ‘오너 리스크’가 발동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CAPEX 규모 감소에 ‘경영공백’ 우려 띄운 카카오, 정작 대중들은 “글쎄”

CAPEX 규모 감소에 ‘경영공백’ 우려 띄운 카카오, 정작 대중들은 “글쎄”

카카오의 올해 3분기 CAPEX(설비투자) 집행 규모가 3년 만에 감소로 전환했다. SM엔터테인먼트 시세조종 의혹으로 최종 결정권자들에 대한 고강도 수사가 이어진 것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다만 일각에선 카카오의 CAPEX 규모 감소를 무조건 경영공백의 결과물로 해석하기엔 무리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성급한 결과 도출을 경계해야 할 시점이다.

산 사람도 없는데 판매 1위라고? 이커머스 ‘트래픽 어뷰징’, 처벌만으로 잡을 수 있나

산 사람도 없는데 판매 1위라고? 이커머스 ‘트래픽 어뷰징’, 처벌만으로 잡을 수 있나

네이버 쇼핑이 내달부터 트래픽 어뷰징에 대한 제재를 강화한다. 15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 쇼핑은 최근 트래픽 어뷰징 제재 강화에 대한 공지를 입점 판매자들에게 전달했다. 트래픽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허위 리뷰를 작성하며 e커머스 시장의 질서를 해치는 ‘트래픽 어뷰징’을 근절하겠다는 취지다.

리걸테크 흐름 ‘역행’하는 韓, 이익 좇는 정치권과 찢어진 기술 혁신의 꿈

리걸테크 흐름 ‘역행’하는 韓, 이익 좇는 정치권과 찢어진 기술 혁신의 꿈

리걸테크를 사실상 허용하는 변호사법 통과가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 법안소위 단계에서 좌절됐다. 정쟁과 변호사 사정 봐주기가 국내 기업의 기술 발전을 가로막고 있단 비판이 쏟아진다. 해외에서 격론을 펼치며 닦아 놓은 길을 국내 정치권과 변협이 애써 무시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당장의 총선에 얽매여 미래시를 버린 정치권의 각성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매출 1조원 돌파’ 마이데이터, 어디까지 왔나

‘매출 1조원 돌파’ 마이데이터, 어디까지 왔나

올해 상반기 국내 마이데이터 사업자 매출액이 1조원을 상회한 것으로 확인됐다. 핀테크 및 IT 기업이 영업 손실액을 큰 폭으로 줄인 데 따른 결과다. 최근 발생한 블랙아웃 사태를 비롯해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한 가운데 마이데이터가 국민들의 금융 생활에 필수 요소로 자리 잡는 데 성공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수조원 가치 기술 빼돌렸는데도 ‘보석’, 국부 유출 부추기는 산업스파이 엄벌해야

수조원 가치 기술 빼돌렸는데도 ‘보석’, 국부 유출 부추기는 산업스파이 엄벌해야

올해 경찰에 적발된 해외 기술유출 사건이 최근 10년 내 최대치를 기록했다. 반도체·이차전지 등 한국의 핵심 첨단 기술이 주요 표적이다. 이같은 범죄가 끊이지 않는 이유는 약한 처벌에서 찾을 수 있다. 수조원대 가치의 국내 기술이 해외로 흘러갔을 가능성에도 사법당국의 ‘솜방망이 처벌’에 산업계에선 한숨이 흘러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