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AI대학

AI/Data Science 석사를 발판으로 한 이직

AI/Data Science 석사를 발판으로 한 이직

우리 SIAI 석사생인 두 명이 이직하게 되었는데, 한 명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자하는 스타트업에 입사하게 되었고, 다른 한 명은 대기업에서 AI팀으로 이동했습니다. 두 회사는 모두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구하지 못해, 이들의 입사로 업무 진행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며, 이들이 만들어낼 Value-add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그들이 120%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내 환경이 허용해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STA501 Mock exam – F2023

STA501 Mock exam – F2023

\begin{document}

\begin{center}
\textbf{\Large STA502: Math \& Stat for MBA I \\ \bigskip Mock Exam F2023}\\
\end{center}

\begin{question}
As a recent graduate of SIAI's renowned MBA in AI/BigData, you just got hired at one of the Fortune 500 companies. As with all rapidly growing tech companies, the compensation package is incredibly generous with handsome stock options, but it also has reputation …

한국 대학들이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관치주의?

한국 대학들이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관치주의?

고려대 총장 “대학 제1 문제는 관치주의… 관여않는 美 보라, 랭킹 톱” (chosun.com)

위의 기사는 고려대 총장님의 조선일보 인터뷰다.
기사의 핵심은 한국 대학들이 경쟁력을 못 갖추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관치라는 주장이다.
 
인터뷰 하신 내용에 100% 동의하지만, 저 문제를 풀어내려면 단순히 교육부만 ‘간섭’을 중단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국내 대학에서 주는 ‘학위’라는걸 기반으로 한 각종 ‘규제’들이 동시에 다 정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

데이터 사이언스 활용에 타 학문 이론 지식이 필수인 이유

데이터 사이언스 활용에 타 학문 이론 지식이 필수인 이유

국내 귀국해서 Data Science 교육, 활용 이런 이야기가 도는 곳들을 몇 군데 훑어보고 너무 황당한 마음에 DS 교육을 시작한지 곧 6년이 다 되어 간다.
코딩 부트캠프 수준의 교육만 받으면 Data Science 전문가가 될 수 있다는 주장들이 황당하기 그지 없었고,
통계학을 현장에 쓰기 위해 고민했던 각종 학문들 (ex. 계산통계학, 사회통계학, 계량경제학 등)에 대한 지식은 아예 1g도 없는 교육들이 …

코딩은 부트캠프가 아니라 머리 좋은 애들이 혼자서 배우는거다

코딩은 부트캠프가 아니라 머리 좋은 애들이 혼자서 배우는거다

코딩 따위는 너 혼자서 공부하고, 난 AI/Data Science라고 알려진 계산과학(고급 수학/통계학) 응용해서 현실 문제 풀어내는거만 가르친다는 태도로 SIAI를 운영 중인데,
중간에 나가 떨어지는 애들 중에 일부가 ‘말하기’ 수준에 불과한 코딩을 못 해서 남의 코드 못 베끼니까 포기하는걸 본다.
무슨 컴공과에서 제대로 OS 레벨까지 내려가서 컴퓨터의 연산 구조에 맞춰 코드 짜라는 것도 아니고,
스크립트형 언어에서 배운 수학/통계학 활용해서 문제 …

코딩 부트캠프 나와서는 취직 안 된다? 학위해야 취직된다? 근데 한국 대학들은 엉망이다? 그럼 학위를 만들어야지

코딩 부트캠프 나와서는 취직 안 된다? 학위해야 취직된다? 근데 한국 대학들은 엉망이다? 그럼 학위를 만들어야지

그간 코딩 부트캠프 출신들을 면접보고 뽑았을 때 내가 겪은 경험담과 비슷한 이야기를 요즘 이곳저곳에서 듣는다.
대부분 코딩 부트캠프 출신들을 안 뽑겠다, 그러느니 그냥 인도에 외주 준다, 고급 인력만 뽑겠다는 이야기가 주류다.
나 역시도 굉장히 많은 인건비를 지불해가며 한국 개발 인력들의 수준이 매우 심하게 낮다는 것도 알게 됐고,
더 나아가 부트캠프 출신들의 기본기 훈련 상태를 보며 한국 시장의 부트캠프가 …

[대학원] 향후 1년간 SIAI 로드맵

[대학원] 향후 1년간 SIAI 로드맵

학회 세미나를 하고 나니 재밌는 일이 많이 생겼다.

학생들끼리 자율적으로 여러 목적의 스터디 그룹을 Teams 앱을 써서 잘 하고 있는 건 알았는데,
내가 평소에 해 줬던 방식대로 우리 사무실 회의실에 15~20명이 모여 논문 토론하자는 스터디에는 별 반응이 없었다고 들었다.
아마 내가 지적하는 스타일로 Theorist 관점의 포인트 지적이 안 나올 것 같아 기대도 안 했을 수도 있고,
자기들 논문을 갖고 …

[대학원] 한국에서 교수하지 말아야 할 이유 – 대학원생 퀄리티

[대학원] 한국에서 교수하지 말아야 할 이유 – 대학원생 퀄리티

S대 학석박 후 포닥 과정 밟고 있는 SIAI 학생의 제보다

이야기를 들어보니 MIT 학부 신입생들은 XX통계 첫 시간에 heteroskedasity를 배운답니다. 선형회귀 기본 정도는 알아서 떼고 오고, 가우스-마르코프 기본가정들은 숙지해오라는 것이겠지요. 케임브리지 XX학과 신입생들은 첫 시간에 ANOVA를 배우고 벡터공간에서 직각삼각형 형태로 분산이 해체되는 직관을 배운다고 합니다. t-test까지는 알아서 공부해오라고 하고요. UC 버클리 XX통계는 전반부에 PCA, 시계열까지 다 …

[대학원] 좋은 학교라고 설명 안 해도 되는 대학원을 가야 취직하기 쉽다?

[대학원] 좋은 학교라고 설명 안 해도 되는 대학원을 가야 취직하기 쉽다?

SIAI 학생들 중에 ‘지식’이 아니라 ‘직장’, 특히 ‘한국 직장’을 찾는 경우에 항상 하는 말이
(좋은 학교라고) 설명 안 해도 되면 좋겠다
라는 표현이다.
 
관련해서 몇 가지 공유해볼까 한다.
 
1.내가 석사 가던 시절
S대 출신에 한국고등교육재단 장학생에 국내 토종이 외국계IB의 IBD팀을 자기실력으로만 뚫고 들어간, 학교에서 ‘전설’이라는 소리듣는다는걸 후배들 입으로 전해 들으면서 한층 우쭐해지셨던 부모님이
내가 석사 프로그램으로 선택했던 학교와 전공을 간다니까 몹시 …

[대학원] DS는 수학이 중요한게 아니라 데이터를 쓰는 직관이 더 중요하거든요

[대학원] DS는 수학이 중요한게 아니라 데이터를 쓰는 직관이 더 중요하거든요

어제 SIAI 올해 지원자들 Personal statement 보다보니, 어떻게 쓰는 지 잘 모르는 사람들이 참 많은데, 그래도 내용이 재밌어서 몇 개 퍼왔습니다ㅋㅋ
 
모 명문대 컴퓨터 공학과 학생
내용 1. Data Science boot camp 참가기
A~Z 파라미터 중 어느 걸 골라 끼울지 이것저거 돌려보는게 Data pre-processing인 줄 알았던 boot camp에서 ‘Certificate’을 받으면 채용이 된다고 그랬다는군요.
Titanic survivors 대신 ‘Friends’ 대사로 바꾸고 …

[대학원] MBA AI/BigData 오신 한 연구자 분이 다음 기수 학생들에게 남기는 메세지

[대학원] MBA AI/BigData 오신 한 연구자 분이 다음 기수 학생들에게 남기는 메세지

논문 링크:
Modeling kinetics of a large‐scale fed‐batch CHO cell culture by Markov chain Monte Carlo method – Xing – 2010 – Biotechnology Progress – Wiley Online Library
 

텍스트 원본:
전에 말씀하셨던 학교 지원 동기 관련해서, 외국에서 공부하거나 일하는것은 제 오랜 꿈이었고
(자꾸 대표님께서 해외 학부 기준으로 2-3학년 수준이라고 말씀하시지만)
영어와 마찬가지로 해외 연구자들은 이 정도 지식은 학술적으로 구사하는 언어처럼 …

[대학원] 제가 하는건 어려운데, 남들이 하는 건 재밌어요

[대학원] 제가 하는건 어려운데, 남들이 하는 건 재밌어요

지난 5월 12일 데이터 사이언스 경영 학회 세미나가 끝나고 뒷풀이 장소에서 있었던 대화다.
공부하느라 힘든 학생 하나한테 오늘 세미나 감상평이 어땠냐고 물어봤다.
본인이 다음 학기부터 논문 준비를 해서 졸업 해야되니까 압박이 더더욱 컸을 것이다.
 
제가 하는건 어려운데, 남들이 하는 건 재밌어요
귀에 번쩍 뜨이길래 이거 다른 분들이랑 공유할꺼라고 미리 이야기를 했다.
왜 귀에 번쩍 뜨였나?
일단 2 파트로 나눠서 설명을 진행해보자.
 
Part …

[대학원] 내용은 둘째고, 우리랑 걔네들이랑 쓰는 언어가 다르잖아

[대학원] 내용은 둘째고, 우리랑 걔네들이랑 쓰는 언어가 다르잖아

가까운 지인과의 대화 중 나온 이야기다.
나름대로 알고 있는 내용들을 이런저런 방식으로 설명해보려는데, 쉽지 않아서 고생하는 중이라고 그랬더니
야, 내용을 모르는 건 둘째고, 우리가 쓰는 언어가 다르잖아
라던데, 머리를 퍽~ 맞은 것 같은 깨달음을 얻는 표현이었다.
 
듣고 어떻게들 생각하실지 모르겠지만, 위의 설명을 위해서 어느 SIAI 학생이 처음 지원할 때 했던 말을 다시 갖고 와 보자.
공기 중에 고르게 퍼져 있다는 …

[대학원] 폴란드 DS 대학원 갔던 학생에게 받은 교육 후기 + DS질문 + 답변

[대학원] 폴란드 DS 대학원 갔던 학생에게 받은 교육 후기 + DS질문 + 답변

대략 1년 전에 Y대 경영 전공인데 SIAI 올려고 하다가 개인 사정으로 폴란드를 가야해서 U턴했다는 학생에게 이런저런 정보를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귀찮은 상담(?)해줬으니까 폴란드 경험치 좀 쌓이면 거기 사정을 좀 알려달라고 했더니 1년 만에 초장문의 답장이 왔다.
질문한 학생이 말한대로 우리 SIAI 학생이 궁금하다는 것도 아닌데 귀찮게 왜 가르쳐줘야 되나는 생각이 들기는 했지만,
그래도 폴란드 사정이라는 알짜 정보를 얻게 …

[대학원] 학벌주의에 제일 피해 보는 사람들이 학벌주의자

[대학원] 학벌주의에 제일 피해 보는 사람들이 학벌주의자

예전에 국내 명문 Y대에서 Data Science 강의한다고 새로 웹페이지를 하나 만들고,
미국 명문대에서 학위 마친 교수들 프로필만 올려놓은 경우를 봤었다.
“뭐 가르치는데요” 라고 물어보니, 그건 모르겠고, 일단 Y대 교수니까 잘 가르치지 않겠냐더라.
 
난 “뭐 가르치는데요”에서 그 내용으로 내가 얻을 수 있는 ‘지식’을 고민하며 학부 전공과 대학원 학교, 전공들을 선택했었다.
학부는 그 점수면 법대 가라는데 무시했고, 뱅킹 출신인거 이용해서 영미권 …

[대학원] 입학 관련 질문있는 분들 이벤트

[대학원] 입학 관련 질문있는 분들 이벤트

SIAI에 대해 궁금증이 있는 몇몇 분들이

에브X타임
오X비
스X라이프

등의 주요 게시판에 각종 질문을 올려놓은 것을 제보로 듣는 중입니다.
저희 글이 링크가 걸린 경우에는 Google Analytics로 다 추적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에 고개 숙여 감사드립니다만,
안타깝게도 답변 속에 또 다시 잘못된 오해가 퍼져나가고 있는 것을 확인하는 중인데,

그간 올려놓은 400개의 글과 학교 홈페이지에 답이 있는데 왜 다시 질문하고, 왜 엉뚱한 대답을 해 주고 있을까?
내부에서 …

[대학원] Google Analytics로 본 SIAI 지원자들의 이상과 현실

[대학원] Google Analytics로 본 SIAI 지원자들의 이상과 현실

처음 막 학교가 생기던 무렵,

MSc AI (현 MSc AI/DS 1년 과정)
MSc DS (현 MSc AI/DS 2년 과정의 첫 번째 학년)

MBA와 MSc DS를 결합해 1.5년 짜리 BSc Data Science 편입과정으로 재편해서 운영 중

MBA AI/BigData

이렇게 3개의 프로그램으로 시작할 계획이었다.
 
MSc AI 입학 시험(링크)은 딱 2명이 통과했고 (결국 MSc DS로 시작, 둘 모두 TA하면서 거의 학비 0원으로 학교를 다녔을 …

[대학원] 스카이, 서카포, 해외 명문대 출신만 가는 ‘엘리트주의’ AI대학원?

[대학원] 스카이, 서카포, 해외 명문대 출신만 가는 ‘엘리트주의’ AI대학원?

기초 지식 없이 껍데기만 보는 많은 분들이 정보를 습득하는 방식이

어느 어느 유명 기관에서 인증
어느 어느 유명 기관에서 No.1 랭킹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간 서비스
유명 인사가 좋다고 했음

같은 내용들이다.
 
전문성이 없는 연예인이 ‘내가 써보니 좋더라’는 광고를 하는 것이 업계 최고 전문가가 같은 말을 하는 것 보다 더 큰 광고 효과를 가진다는 것이
광고업계의 속설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피부로 …

[대학원] MBA AI/BigData (Business Track) 공식 승인

[대학원] MBA AI/BigData (Business Track) 공식 승인

주말을 거쳐 드디어 MBA AI/BigData (Business Track) 프로그램에 대해 EduQua 공식 승인을 받았다.
일전에 소개한대로 (링크) 내부에서 많은 토론이 있었던 프로그램이다.
1개의 프로그램 교육을 2개의 다른 평가 방식 (시험, 과제 등등)으로 나눠서 다른 Track의 학위를 주는건데,
스위스가 워낙 자유주의 국가라서 그런지 이런 제도를 이용하는 대학들이 몇 개 더 있는 덕분에 좀 더 쉽게 승인을 받았다.
내년에 출범 예정인 MBA …

[대학원] 교육의 목적 – 간판 자랑 vs. 실력 향상

[대학원] 교육의 목적 – 간판 자랑 vs. 실력 향상

얼마 전, 정보경제학의 신호효과와 인적자본이론의 생산성효과로 글을 쓰며 SIAI 교육의 목표를 설명한 적(링크)이 있었는데,
(내가 좀 별로 안 좋아하는) 이준구 교수님이 비슷한 내용으로 글을 쓰셨다(링크)는 제보를 받았다.
개인적으로 별로 안 좋아하는 것과 별개로 훈련 잘 받은 학자 풍이 물씬 풍기면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쉽게 좋은 글을 써 주셨더라.
이런 글을 쓰실 수 있는 분이라고 생각을 안 했었는데, 그간 제자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