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bii Biz

[개안뽑] ⑦워드프레스는 테마 잘 고르면 반, 플러그인 잘 고르면 나머지 반이다

[개안뽑] ⑦워드프레스는 테마 잘 고르면 반, 플러그인 잘 고르면 나머지 반이다

워드프레스는 테마만 잘 고르면 이미 반은 완성한 것이다
나머지 반은 플러그인을 잘 골라서 시키는대로만 웹페이지를 만들면 된다
쓰고 싶은 기능 플러그인들도 이상한 거 고르지 말고, 효율적인걸 찾긴 해야겠지만….

2023년 12월 현재, 내가 이 글을 작성하고 있는 테마와 기본 셋팅에 쓴 플러그인은 아래와 같다.

테마: Kadence

플러그인

웹페이지 디자인 블록: Kadence Block

그 외 현재 보이는 홈페이지와 별로 관련이 없는 몇 가지 기능적인 …

[개안뽑] ⑥한국인 개발자를 뽑는 것이 시간 낭비, 돈 낭비, 에너지 낭비인 이유

[개안뽑] ⑥한국인 개발자를 뽑는 것이 시간 낭비, 돈 낭비, 에너지 낭비인 이유

한국인들의 근원적인 문제인 ‘사고력 부재’가 그대로 내재된 개발자들의 개발
결국 남들이 쓴 코드 카피해놓고 자랑할 뿐, 프로젝트 사정에 맞는 개발은 몰라서 못한다
한국인 개발자 쓰지 말고, 차라리 우리 템플릿 베껴가면 구글 페이지 스피드에서 100점 받는다
영어 실력되면 해외 개발자들 써서 더 잘 만드시면 더 좋다

쿠팡의 김범석 의장이 한국인을 혐오한다고 온갖 비난에 시달린 적이 있다.

한국인들은 큰 물에서 놀지 못해 …

[개안뽑] ⑤워드프레스로 (거의) 다 되는데 왜 개발자 뽑아요?

[개안뽑] ⑤워드프레스로 (거의) 다 되는데 왜 개발자 뽑아요?

워드프레스가 매우 조잡한 시스템이라 개발자들에게 무시 당하는 플랫폼이었으나
지난 20년 사이에 블로깅 -> 콘텐츠 사이트 -> 웹사이트 제작 프로그램으로 진화했음
이제 개발자 없이 워드프레스로만 모든 걸 다 만들 수 있는 시대가 왔음

한국에서 웹사이트를 워드프레스로 만들었다고 표현하면, 듣는 사람들의 표정이나 벤처 업계 인식이 대체로

가볍게 금방 쓰기 위해 만들었다

제대로 개발을 안 하는 회사다

예산이 없거나, 돈 안 들이고 대충 만드는 …

[개안뽑] ③대충 만든 서버 쓰니까 그 모양이지

[개안뽑] ③대충 만든 서버 쓰니까 그 모양이지

서버 보안은 결국 서버를 잘 만들어야 된다는 사실을 깨닫고, Microtik RB5009, TP=LinkTL-SX3008 같은 장비를 구매하고 Varnish cache 서버를 앞에 붙여서 보안의 기초를 쌓았다. 그 외에도 서비스에 각종 보안을 적용하면서 이게 개발자 1명 잘 뽑아서 해결되는 문제가 아니라는 것도 알게 됐다.

[개안뽑] ②해킹을 ‘또’ 당하다

[개안뽑] ②해킹을 ‘또’ 당하다

워드프레스가 계속 보안, 기능 등의 이유로 버전이 올라가는데, 거기에 맞춰서 테마들, 플러그인들도 버전이 계속 올라간다. 자기네들도 시장에서 살아 남아야 하니까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고, 보안 이슈에 구멍이 났으면 대응을 꾸준히 계속 해 주고 있는 건데, 난 버전 업그레이드되면 종종 웹사이트 UI가 망가지니까 그게 싫어서 버전 업그레이드를 막아놨었다. 누가 버전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르면 화를 내면서 거꾸로 원복을 하고 그랬던 기억이 난다.

[개안뽑] ①개발자만 안 뽑았더라면

[개안뽑] ①개발자만 안 뽑았더라면

극소수의 실력파 개발자 분들을 제외하면 그 어떤 분이 와도 업무 스타일이나 공학 지식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나랑 부딪힐 수밖에 없고, 그 전에 내가 그 분들에게 너무 크게 실망할 것이 이제 너무 예상이 된다. 이만큼 겪어보고도 모르면 그게 바보 아닌가 싶어서 지난 3월에 CTO를 내보내면서 이제 다시는 개발자를 뽑지 말자고 결심했었다.

AI/Data Science 석사를 발판으로 한 이직

AI/Data Science 석사를 발판으로 한 이직

우리 SIAI 석사생인 두 명이 이직하게 되었는데, 한 명은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자하는 스타트업에 입사하게 되었고, 다른 한 명은 대기업에서 AI팀으로 이동했습니다. 두 회사는 모두 해외에서 고급 인력을 구하지 못해, 이들의 입사로 업무 진행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기대하며, 이들이 만들어낼 Value-add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그들이 120%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사내 환경이 허용해줄지는 아직 미지수입니다.

STA501 Mock exam – F2023

STA501 Mock exam – F2023

\begin{document}

\begin{center}
\textbf{\Large STA502: Math \& Stat for MBA I \\ \bigskip Mock Exam F2023}\\
\end{center}

\begin{question}
As a recent graduate of SIAI's renowned MBA in AI/BigData, you just got hired at one of the Fortune 500 companies. As with all rapidly growing tech companies, the compensation package is incredibly generous with handsome stock options, but it also has reputation …

체급에 비해 인재가 부족한 나라

체급에 비해 인재가 부족한 나라

초등학교 6학년 때의 일이다. 중간고사 시험이 끝나고 선생님이 총점, 평균점수를 계산해서 표로 만들어 제출해라고 시켜놓고는 교실 뒤에서 놀고 계셨는데, 50명 교실이 뭔가 좀 웅성웅성하는 분위기였다. 언제나 평균 90점만 맞추고 Q-Basic으로 뭔가 이상한걸 만드는 생각 밖에 안 했던 나는 대충 평균 91점 남짓이 되는 걸 후닥닥 계산해놓고는 또 다시 그 날 집에가서 이것저것 해볼 생각에 빠져 …

회사 지원하는 한국인과 영어권의 태도 차이

회사 지원하는 한국인과 영어권의 태도 차이

회사 채용 공고를 제대로 읽지도 않고 지원하는 경우를 너무 많이 겪는다.
거꾸로 제대로 읽기만 했어도 다른 스펙과 관계없이 뽑아줘야 되는거 아니냐는 생각도 해야될 정도로 제대로 읽는 경우가 거의 없다.
회사 입장에서는 나름대로 강점이 있는데, 자기 자신에 대한 이야기만 잔뜩 써 놓은 이력서, 자기 소개서만 받을 뿐,
그 회사에 자기가 어떤 기여를 할 수 있고, 자기 인생의 목표에 어떻게 …

한국이 고급 인재를 못 살리는 나라가 된 이유 – 당신들이 고급 인재가 아니니까

한국이 고급 인재를 못 살리는 나라가 된 이유 – 당신들이 고급 인재가 아니니까

수학, 통계학에 기반한 Data Science 교육이 이뤄져야 하는데, 단순 부트캠프 수준의 코딩 교육만 이뤄진다는 비판을 시작한지 6년이 됐다.
비판을 꺼내니 온갖 비판을 맞는 중인데, 그 중 가장 안타까운 내용이
대기업가는데 저런 거 필요없다. 코테만 통과하면 된다
라는 표현이다. (코테=코딩 테스트)
 
난 미국서 직장 찾을 때 나같은 수리 모델링 훈련을 받은 사람들을 코딩 테스트로 거르려는 직장들은 모조리 무시했었다.
나만 그랬던 것도 …

인재가 없는 나라? 노예근성 탓에 못 키우는 나라

인재가 없는 나라? 노예근성 탓에 못 키우는 나라

3년 쯤 전의 일이다.
구로의 어느 IT 회사와 미팅을 하는데, ‘그건 구글 같은 곳에서나 하는거지’ 라는 표현을 쓰는 개발자들 몇몇이
Programmatic buying 기반으로 돌아가는 광고 타게팅 사업 모델에 자기네 회사 데이터를 쓰겠다는 피치를 하는 나를
무슨 4차원의 정신병자처럼 취급하는 속이 터지고 답답한 미팅을 했었다.
 
3년도 채 지나지 않았는데, 이제 Programmatic buying을 광고 업계에서 모르는 사람들은 전보다 많이 줄었을 것이다.
물론 …

한국 공교육은 망했다? 아니 너무 후진적이다

한국 공교육은 망했다? 아니 너무 후진적이다

가깝게 지내는 교수님 한 분이 보내주신 영상이다.

MZ세대가 이상하다는 ‘꼰대’들이 문제라는 이야기인데, 핵심은 한국 교육의 붕괴를 지적하는 내용이다.

여기에 대해 다른 교수님이 이런 댓글을 달아주시더라.

내 눈에 들어오는 문장은

이미 아는 답을 자꾸 사람들이 잘 모른다는 식으로 애기하는 이런 프로그램보다는 이제 직접 문제를 명시적으로 지목하고 비판하는 논의가 필요…

였다.

글쎄…. 교육부가 예산 집행권한을 꽉 쥐고 있는 대학들에서 자기네 학교 교수가 TV …

서울과학고 자퇴한 영재의 도전 속에 숨겨진 선수학습과 입시교육

서울과학고 자퇴한 영재의 도전 속에 숨겨진 선수학습과 입시교육

10세 영재 아버지 “몸무게 27→22kg 빠진 아이, 소리 없이 울더라” (chosun.com)

백강현이라는 10살짜리 어린 영재가 서울과학고에서 1학기를 겨우 버티고는 자퇴를 선택했다는 기사를 봤다.
이런저런 논란이 되어버린 탓에 본인이나 주변 관계자들의 마음 고생이 많을텐데,
영재(?)와는 꽤 거리가 있는 인생이었지만 특목고, S대 같은 속칭 ‘천재들의 모임’ 조직을 거쳐봤던 입장에서 가장 눈에 띄는 대목은
“2학기 중간고사에서 전교 80등 안에 들겠다”
는 구절이다.
출처=백강현 유튜브
 
정원 …

AI투자업체 차리던 공돌이들의 몰락

AI투자업체 차리던 공돌이들의 몰락

자존심 구긴 김택진… 10년 공들인 AI투자업체, 아내 윤송이 지분까지 공짜로 넘겼다 – 조선비즈 (chosun.com)

기계공학, 건축공학 비전공자인 내가 철근과 시멘트로 바빌론 탑을 지어서 지구 대기권 밖까지 엘리베이터를 연결할 수 있다고 주장하면 전공자 분들이 뭐라고들하실까?
아마 정신 상태가 멀쩡하지 않은 인간 취급을 할 것이다.
 
AI로 투자해서 높은 수익을 내는 알고리즘을 만들 수 있다고 주장하던 공돌이들이 내 주변에만 수백명쯤 됐었다.
그건 …

‘대기업 가는데 아무 문제 없다’는 한국 대기업 채용 공고

‘대기업 가는데 아무 문제 없다’는 한국 대기업 채용 공고

“공고를 제대로 낸 대기업이 보인건데, 콕 찝어서 ‘훈수’ 주는건 어때? ‘데이터 엔지니어’라니, ‘Junior data scientist’가 더 어울리지 않나? 대학에서 통계학 배우고 우리 회사에서 검색 엔진을 만들 수 있으면 쫙- 좋겠는데, 그 애들 실력이 보잘것없으니 위로가 될게 없네. 아무리 갈구해도, 한국에선 ‘데코당근’이랄까~”

‘대기업 가는데 아무 문제 없다’ 속에 담긴 한국의 미래

‘대기업 가는데 아무 문제 없다’ 속에 담긴 한국의 미래

요즘 제일 많이 고민하는 주제는 ‘슈퍼IP’다.
일본이 슈퍼마리오, 슬램덩크, 도라에몽, 원피스… 같은 만화/애니메 원작 기반으로 한 IP(지적재산권)으로 수십년동안 엄청난 돈을 벌고 있는데,
한국도 아이돌로 몇 번 대박을 터뜨리면서 곧 슈퍼IP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도전장을 내밀 수 있는 나라가 됐다.
단순히 스토리만 좋아야 하는게 아니라, 밑바탕에 ‘역사’를 갖추고, 엄청난 기획력과 꾸준히 콘텐츠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인프라,
무엇보다 ‘창의력을 …

영어 잘하는데 집에서 노는 인력들의 IT업계 취직

영어 잘하는데 집에서 노는 인력들의 IT업계 취직

 
위의 메일을 주기적으로 보내주는 어느 기관이 있다.
아마 우리 회사가 ‘데이터’ 키워드에 걸려 있기 때문에 무작위로 뿌리는 메일일 것이다.
당연하겠지만 저런 자리에는 갈 생각이 전혀 없다.
내가 가서 하게 될 이야기는
정부 지원 교육이라는게 다 뭐 그렇고 그런거 아니겠습니까? 상고, 공고 수준의 직업 교육 받아서 취업된다면 그 회사의 기술력을 알아봐야 되는거 아니겠어요?
이런 독설을 하게될텐데, 그런 독설 할려고 귀찮게 찾아가는건 …

한국 대학들이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관치주의?

한국 대학들이 망할 수 밖에 없는 이유는 관치주의?

고려대 총장 “대학 제1 문제는 관치주의… 관여않는 美 보라, 랭킹 톱” (chosun.com)

위의 기사는 고려대 총장님의 조선일보 인터뷰다.
기사의 핵심은 한국 대학들이 경쟁력을 못 갖추는 가장 근본적인 원인이 관치라는 주장이다.
 
인터뷰 하신 내용에 100% 동의하지만, 저 문제를 풀어내려면 단순히 교육부만 ‘간섭’을 중단한다고 될 일이 아니다.
국내 대학에서 주는 ‘학위’라는걸 기반으로 한 각종 ‘규제’들이 동시에 다 정리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